본문 바로가기
예술

[예체능] 순수미술_ 한국의 미, 한국화에 대하여

by 햄치즈 발바닥 2023. 8. 24.
반응형

한국화는 한국만의 전통적인 기법과 양식으로, 그림을 그린 장르입니다.

근대 이후의 서양화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데서 유래된 단어입니다.



한국에서는 동양화라는 단어도 참 많이 쓰이는데, 보통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미술을 의미합니다.

더 세분되어 한국의 미술을 집어 말할 때 한국화로 표현합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에서는 조선 꽃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한국화는 먹이나 분채 등의 전통 재료로 그려진 그림뿐 아니라 빛의 변화를 이용한 현대적인 컨셉 예술 등의

장르까지 포함하며, 현대에 와서는 한국 사람이 한국인의 정서를 담아 그린 그림을 통칭하며

어떤 재료를 사용했느냐고 크게 중요하게 따지지 않습니다.



[개요]

한국인의 사상과 가치관, 얼, 생활, 삶을 토대론 하여 그려진 그림과 예술로 서양과는 화풍과 가치관이 확연히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공간이라는 개념은 한국인 특유의 개념으로, 평소 화면에서 먹선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는 방법인데

여백을 강조하여 그립니다.

무한한 공간과 여백의 개념. 여백의 미. 선으로 채워지는 정신. 

이러한 선상 채를 배치하거나 구성함으로써 화면에 공간감이 도입되게 됩니다.

화폭의 에너지는 그림의 최우선 과제로 여겨지는데, 기라고도 하며 기운이라고도 합니다.

일필휘지. 한 선으로 그린 그림. 얼마나 힘이 느껴지는가. 이러한 에너지를 중요시합니다.

에너지는 무한성 실현. 궁극적인 목적인 정신을 담는 것이 가장 큽니다.

선의 형태는 예술가의 마음을 여실히 드러내며 선만 보고도 작가의 성품과 가치관을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한국 회화의 주요 특징은 이 두 가지 공간적 형태와 직선적 형태입니다.

이러한 한국미술은 동양철학에 기초하고 있으며 필연적인 동양화풍, 즉 회화 양식입니다.



동양화에는 두 가지 종파가 있습니다. 하나는 남종화이고 다른 하나는 북종화라고 합니다.



현대에 와서는 한국 사람이 한국의 정신을 담아 그린 그림을 한국화라고 하나,

과거 조선시대의 그림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조선 중기의 겸재 정선, 해원 신윤복, 단원 김홍도 등...

한국의 풍경과 풍습을 담아 민화를 그려냈습니다. 백성의 삶을 담은 민화는 대체로 채색화가 많습니다.

당시 전문적으로 그림을 공부하지 않은 채 구현된 민화는 한국의 민족성을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또한 조각 흔적이 많고 필선 형태로 채색된 장식화이기도 한, 한국 고유 그림의 한 종류입니다.



선종 남정선의 기본 사상인 도 노는 남정화의 정신에 따라 회화예술보다 수호자의 정신과 문화가 중요하며 이후에 그림을 그릴 때 얻을 수 있다고 여겨집니다. 남화는 이곳에서 작가와 4대 사이에 이루어진 문학작품과 공통점이 많아 작가들로부터 많은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상납 잎 북설 같은 것이 동창과 명대 '마르크스 실용'이 제창하여 남 화의 우월성을 강조하였다)<br ></button>
<br />
<br />
<br />
북종화가 선 씨 '북송'과 같은 길을 걷는 사람입니다.

예술가로서 자부심과 고품질의 회화작업물을 구현하기 위해 먼저 기초부터 화기를 연습하고 서서히 지식을 얻고

가다듬어 갑니다. 결국은 뛰어난 작품성을 위해 남 화의 생각과 같지만, 학문적 과정과 그에 대한 

정신적 태도가 개인마다 다르게 됩니다. 결국 가치관이 사람마다 다르다는 것입니다.



[수묵화의 기법]

또, 구륵법과 몰골법. 

구륵법은 묘사할 대상의 윤곽을 선으로 그린 후 채색하는 방식입니다.

몰골법은 연한 먹이나 채색 물감으로 먼저 바른 후 마르기 전 착색 안료가 농축된 수송 골을 주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모든 수묵화는 이 두 가지 기법의 하나에 속합니다.



남 화와 북 화는 화풍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남중국에서는 중국 남부로부터 전파된 남종선의 영향력이 기반인 동시,

남쪽 기후와 분위기가 드러납니다. 남쪽 산은 완만하고 그림으로 처리된 선도 유연하며 잔잔한 편입니다.

또한 온난한 기후 때문에 풀을 이용한 채색 방법이 부적절하며 필기와 에너지를 중시하는 선염법이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먹이 주로 사용되며 색을 칠하기도 합니다.



북 화는 중국 북쪽에서 유래된 화풍으로 북쪽에는 험준한 산이 많으며 천연석을 이용한 채색화가 큰 특징입니다.

(분채) 금벽산수와 산야 도는 이러한 모습이지만 먹을 주재료로 북종산 수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한국의 그림도 이러한 영향을 크게 받았습니다. 겸재 정선과 혜원 신윤복, 조선 중기 단원 김홍도가 대표적 인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매우 많은 화가가 있습니다.



[한국화의 재료, 기법]

[예술]

예술은 학문, 종교, 도덕, 과 같은 문화의 한 분야입니다.

예술 활동은 창조와 감상, 그리고 그 성과인 예술 작품을 모두 포함하는 단어입니다.

문학, 음악, 예술, 영화, 춤, 등 예술 안에서 다양한 장르로 나누어집니다.

그러나 이러한 예술작품에 대한 평가와 비평, 의의를 재정비하는 것, 곧 연구하는 것은 인문학의 영역이기도 합니다.

(매우 서로 인과관계와 상관이 두드러집니다)<br ></button>
<br />
<br />
<br />
 예술은 사람들을 연결해 주며 감정과 아이디어를 제공해 주며 과학과도 같은 역할을 하지만, 미적인 형태로 설명이 됩니다.

예술의 중심 개념은 아름다움이고 아름다움이 부족하거나 그것을 놓친 채 추악하게 표현된다면 결코 예술이라고 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나 아름다움만으로는 예술을 다 담지 못하고 개념까지 포함해야 합니다.

이 예술의 개념은 어떤 형태로든 표현이 되어야 하는데 예술의 시각이 크게 다르면 그것은 이데올로기적 또는 낭만주의와 리얼리즘이 됩니다. 헤겔은 이데올로기였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낭만주의, 리얼리즘의 대표 인물입니다.

아름다움을 자연의 모방이나 복제로 간주하는 개념적 대립은 아직도 이어지고 있습니다만, 정답은 없습니다.



예술학은 예술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예술의 과학적 연구라는 의미로도 사용합니다. 

그러나 예술철학과는 별개로 예술사회학은 예술의 사회학적 연구이며 실증주의와 함께 발전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노동으로서의 예술에 대한 논의. 예술가의 지위가 불분명한 것은 예술 노동 논쟁의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제도가 허용하는 지위에 기초한 분배를 확보하는 것은 정당한 사회인이라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닙니다.

창조는 노동의 일부지만 미적 가치를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특별한 노동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소에 대하여[색상 2편]  (0) 2023.08.24
컬러에 대하여  (0) 2023.08.24
큐레이터, 학예사에 대한 글  (0) 2023.08.24
웹디자인과 코딩  (0) 2023.08.21
이모티콘에 대해서!  (0) 2023.08.21